방송 중 '이건 억까다' 라며 억울해하는 모습을 많이들 보셨을 텐데 대체 억까란 무엇일까요? 일단 기원과 유래는 자세하게 알려진 바는 없으나 게임 '로스트 아크'를 플레이하는 유저들을 기반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퍼지게 됐습니다. 그 전부터 존재는 했으나 지금처럼 많이 쓰이진 않았었죠.
또, 기존의 '억까'는 '억지로 까다'의 준말로 누군가를 잘못도 아닌일로 어떻게든 깍아내리려 할 때 '너무 억지로 까는거 아니냐', '이건 너무 억지다.' 라는 의미로 쓰였고 이건 상황과 맥락 상 어느정도 유추가 가능한데 이 밈이 '로스트 아크'를 기반으로 여기저기 많이 쓰이다보니 새로운 의미들도 생기고 기존의 의미보다 광범위한 의미로 쓰이게 되면서 억까가 뭔지 처음 보는 사람들은 그 의미를 유추하기 힘든 경우들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원래의 의미인 '억지로 까다' 는 의미보다 '말도 안된다.', '너무하다.' 정도의 의미, 특히 부정적인 의미로 생각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이 보스는 너무 억까다.' 기존의 용례로는 이 보스는 너무 억지로 깐다 는 의미겠지만 이 보스는 너무 어렵다, 너무하다.는 의미로 보는게 더 자연스럽습니다.
'이번엔 아이템이 너무 억까로 나왔어.' 보통 랜덤하게 아이템을 얻는 게임, 요즘으로 치면 뱀파이어 서바이버 같은 게임을 할 때 아이템이 잘 안나오면 '이번판 너무 억까다.' 라고 표현하는데 이것도 억지로 깐다는 의미보단 아이템이 말도 안된다. 너무하다.' 는 의미로 보시는게 자연스러울겁니다. 아이템이 너무 잘 안나왔다. 말도 안되게 운이 없었다. 정도의 의미죠.
'이번판 진짜 왜이렇게 억까냐.' 여러 의미로 해석이 되므로 어떤 상황에서 나왔는지를 알아야 하겠지만 보통은 이번판 왜 이렇게 어렵냐, 왜 이렇게 운이 안좋냐 는 의미로 보면 맞습니다.
이런식으로 기존의 억까 의미와 맞지 않는 상황들에서 억까라는 말이 쓰여 헷갈리거나 유추가 안된다면 그냥 해당 상황의 맥락에 맞는 부정적 의미로 생각하시면 얼추 맞을겁니다. 억지다, 어렵다, 운이 나쁘다, 너무하다 등등 과거 뭐든 좋은일만 있으면 '대박' 이라고 하듯이 요즘은 뭐든 부정적인 의미의 상황에 억까라는 말을 많이 쓰기때문에 이런 의미로 알아두시면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며 상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을겁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밈 - '비틱'은 대체 무슨 말? (0) | 2022.03.01 |
---|---|
SNL 코리아 장애인 비하 논란 (0) | 2022.02.24 |
걸그룹 스테이씨(STAYC) 남혐 논란 (0) | 2021.05.29 |
[머니게임] 파이의 저격에 대한 전국진의 답변 정리 2 - 05.26 (0) | 2021.05.29 |
[머니게임] 파이의 저격에 대한 전국진의 답변 정리 1 - 05.26 (0) | 2021.05.29 |